개발이야기/코딩테스트
[백준-1338(DFS)]바닥장식
Study & Stack
2025. 6. 5. 11:32
728x90
문제
형택이는 건축가이다. 지금 막 형택이는 형택이의 남자 친구 기훈이의 집을 막 완성시켰다. 형택이는 기훈이 방의 바닥 장식을 디자인했고, 이제 몇 개의 나무 판자가 필요한지 궁금해졌다. 나무 판자는 크기 1의 너비를 가졌고, 양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. 기훈이 방은 직사각형 모양이고, 방 안에는 벽과 평행한 모양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.
이제 ‘-’와 ‘|’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 모양이 주어진다. 만약 두 개의 ‘-’가 인접해 있고, 같은 행에 있다면,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고, 두 개의 ‘|’가 인접해 있고, 같은 열에 있다면,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다.
기훈이의 방 바닥을 장식하는데 필요한 나무 판자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 방 바닥의 세로 크기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M개의 문자가 주어진다. 이것은 바닥 장식 모양이고, '-‘와 ’|‘로만 이루어져 있다. N과 M은 50 이하인 자연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.
예제 입력
4 4
----
----
----
----
예제 출력
4
예제 입력
6 9
-||--||--
--||--||-
|--||--||
||--||--|
-||--||--
--||--||-
예제 출력
31
예제 입력
7 8
--------
|------|
||----||
|||--|||
||----||
|------|
--------
예제 출력
13
예제 입력
10 10
||-||-|||-
||--||||||
-|-|||||||
-|-||-||-|
||--|-||||
||||||-||-
|-||||||||
||||||||||
||---|--||
-||-||||||
예제 출력
41
예제 입력
6 6
-||--|
||||||
|||-|-
-||||-
||||-|
||-||-
예제 출력
19
문제 요약
바닥이 -(가로 나무 판자), |(세로 나무 판자)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이고,
연결된 같은 모양의 나무 판자를 하나의 조각으로 세는 문제입니다.
문제의 핵심 개념
- **같은 모양의 판자가 연속되어 있는 경우 "하나의 조각"**으로 본다.
- - 는 가로로 연속되어 있어야 하나의 조각.
- | 는 세로로 연속되어 있어야 하나의 조각.
- 단, 가로와 세로가 엇갈려 있으면 서로 다른 조각으로 본다.
핵심 알고리즘: DFS (깊이 우선 탐색) 또는 BFS
- 같은 모양(-, |)이 연결된 구간을 찾아서 "한 번만 세면" 되므로,
→ 탐색 후 방문 표시해서 중복 계산을 막는 것이 핵심입니다.
접근 방식 요약
- 입력 처리: 바닥 상태를 2차원 리스트로 저장한다.
- 방문 배열: 이미 탐색한 칸은 다시 탐색하지 않도록 체크한다.
- 전체 칸을 순회:
- 아직 방문하지 않은 칸이 있다면,
- DFS를 이용해 해당 조각 전체를 탐색하고,
- 조각 수(count)를 1 증가시킨다.
- DFS 조건:
- -: 오른쪽으로만 연결
- |: 아래쪽으로만 연결
import sys # 시스템 관련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모듈
input = sys.stdin.readline
# 입력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readline 사용 (입력이 많을 경우 시간 단축됨)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# 첫 줄에서 세로(n)와 가로(m)의 크기를 입력 받음
# 예: 4 4 → n=4, m=4
# 바닥 장식 데이터를 저장할 2차원 리스트 생성
board = [] # 예: [['-', '-', '-', '-'], ['-', '-', '|', '-'], ...]
for _ in range(n): # 세로 길이만큼 반복
line = input().strip() # 줄바꿈(\n)을 제거한 문자열을 한 줄 입력 받음
row = list(line) # 문자열을 한 글자씩 잘라 리스트로 변환
board.append(row) # 완성된 한 줄 리스트를 board에 추가
# 방문한 위치를 체크할 2차원 리스트 생성 (초기값은 모두 False)
visited = [[False] * m for _ in range(n)]
# 예: [[False, False, False, False], ..., 총 n줄]
# DFS 함수 정의: 현재 좌표(x, y)를 기준으로 같은 조각을 탐색
def dfs(x, y):
visited[x][y] = True # 현재 좌표 방문 처리
current = board[x][y] # 현재 위치의 타일이 '-'인지 '|'인지 확인
if current == '-': # 수평 타일인 경우
ny = y + 1 #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
#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, 아직 방문하지 않았으며, 같은 수평 타일인 경우
if ny < m and not visited[x][ny] and board[x][ny] == '-':
dfs(x, ny) # 재귀적으로 오른쪽으로 계속 탐색
elif current == '|': # 수직 타일인 경우
nx = x + 1 #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
#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, 아직 방문하지 않았으며, 같은 수직 타일인 경우
if nx < n and not visited[nx][y] and board[nx][y] == '|':
dfs(nx, y) # 재귀적으로 아래쪽으로 계속 탐색
# 결과: 조각 개수를 저장할 변수
count = 0
# 전체 board를 돌면서 아직 방문하지 않은 타일에 대해 DFS 수행
for i in range(n): # 세로 방향 반복
for j in range(m): # 가로 방향 반복
if not visited[i][j]: # 아직 방문하지 않았다면
dfs(i, j) # DFS 탐색 시작
count += 1 # 새로운 조각이므로 개수 +1
# 결과 출력
print(count)
728x90